728x90

삼국지를 읽다보면 무척 많은 전쟁들이 나온다. 황건적과의 전쟁, 동탁 vs 연합군의 전쟁, 원소 vs 조조의 전쟁등 말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흥이나며 제갈량의 가세로 각국의 참모가 초절정 상태의 지략 대결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적벽대전은 가히 원탑으로 불릴만한 전쟁일 것이다.

 

특히 특히 형주를 거점으로 하며 조조군과 맞써 싸울 상황도 될법했던 유비가 군자의 길을 걷는 바람에 조조는 너무나 손쉽게 형주를 차지한다. 여기서 다들 유비를 쪼다라고 한다. 한때 나도 그렇게 생각했다.

 

하지만, 유비에게는 시간이 부족했던 것이다. 안전을 확보하고 민심을 수습하며 자신에게 충성할 군대를 만들기에는시간이 너무 부복한 것이었다. 조조가 기다려 준다던가? 유비도 나름 멀리 한수 내다 본 결정이었으리라. 거기다 명분도 있지 않은가? 형제의 땅을 취할 순 없노라....ㅋ

 

그러니, 조조의 입장에서는 제대로 된 싸움없이 형주까지 차지하고 보니 내친김에 천하통일을 이루고자 하였던 것이다. 물론 장강이 최대 장벽임을 모르지는 않았지만, 언제까지나 내버려 둘수만도 없는 입장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전쟁의 진행 국면을 들여다보면, 조조 vs 유,손 연합 대결보다는 오히려 제갈량과 주유의 대결에 더 초점이 맞춰진다. 천하를 노리는 유, 손 두 진영의 최고 수뇌부의 지략 대결은 적벽대전 서막부터, 전쟁 후 주유가 죽을때까지 이어진다.

 

초반에 제갈량의 동오를 방문하면서 주유는 제갈량을 떠보려하지만, 오히려 주유 부인을 들먹이는 제갈량의 심리전에 말려들어 흥분하며 선수를 빼앗긴다. 이후, 화살 10만개, 동남풍 사건, 형주 장악, 유비와 손상향의 결혼 등 모든 부분에서 주유는 제갈량에게 매번 당하고 만다. (제갈량은 이와중에 또 다른 라이벌 관우를 완전히 제압한다.)

 

허풍과 과장이 있겠지만, 소설로만 대한다면 제갈량은 거의 신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므흣)

 

적벽대전에는 복룡봉추 중의 한명인 봉추 방통도 등장해 한몫하고 대기 모드로 들어간다. 장강은 중국에서 항하와 더불어 어마어마하게 큰 강이다. 이곳에 육지에서만 싸움하던 병사들이 물결의 흔들림에 중심을 못잡고 어지럼증을 느끼는 것이 문제였다.

 

이러한 조조군을 아무 의심없이 배를 서로 묶어 파도에 흔들리지 않도록 하라고 설득한 이가 바로 방통이었다. 이후 방통은 의외로 동오에서 크게 대접을 못받게되자 유비를 찾게 된다.

 

아무튼 전쟁은 벌어졌고, 적벽에서 조조는 대패하고 그 기세가 꺽인다. 조조의 생애에서 천하통일은 물 건너 갔음을 조조도 느끼는 상황이었을 것이다.

 

아울러 이 전쟁으로 유비는 형주를 차지하며 탄탄한 기반을 구축하게 된다. 특히 내실있는 행정을 바탕으로 인물을 정비하고 군대를 정비하여 추가로 서촉까지도 얻게된다. 유비 세력이 국가급으로 눈부시게 성장하게 된 배경은 적벽대전이었다.

 

한편 전쟁을 압도적 대승으로 마무리지었으나 결과적으로 얻은게 없는 손권측은 상대적 박탈을 느끼며 형주를 차지한 유비가 배아픈 상대가 된다. 틈만 나면 유비가 차지한 형주를 노리게 되며, 둘 사이에는 협력하기 어려운 보이지않는 틈이 생기게 된다. 이는 삼국지 3대전쟁의 마지막인 이릉대전의 불씨가 된다.

 

다음 동영상은 뚠자가 아들 뚠뚠이와 적벽대전에 대해 나눈 이야기입니다.

PPT로 자료를 보면서 이야기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6DYakURfMc

728x90
Posted by ttoonza
,
728x90

 

제갈량과 사마의

앞서 군주들의 천하를 다투는 라이벌 관계를 보았는데, 그들을 보좌하는 참모들의 지략대결도 불꽃튀는 라이벌 관계를 형성한다. 특히 삼국지 중후반부를 혼자서 이끌어가다시피 하는 제갈량에게는 상황 상황에 맞게 라이벌 관계가 형성된다.

 

처음에는 관우가, 다음에는 주유가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사마의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한다. 관우는 화용도 사건으로 완전히 휘어잡았고, 주유는 수차례에 걸친 지략 대결에서 차원이 다른 한마디로 클래스가 다른 모습을 보여주며 완승한다.

 

오죽하면 주유가 제갈량의 지략에 탄복하며 하늘을 원망하며 죽었을까...

 

하지만 마지막 그로기 상태까지 몰고 갔지만, 정작 KO를 시키지 못한 인물이 있으니 그가 바로 사마의다. 사마의도 제갈량 못지않게 지략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다만 실전에서의 경험이 제갈량에 못미쳐 한두번 우왕좌왕 했으나, 버티기 신공으로 끝내 살아남음은 물론이오, 손자로 하여금 대업을 이루게하는 발판을 마련해준다.

 

10여세부터 줄곧 제갈량만 제일로 치며 살아왔으나, 50줄에 들어서 중국 드라마 대군사 사마의를 본 이후 사마의에 대한 생각이 조금 바뀌었다. 가문(부모부터 형제와 자식까지)을 지켜내기 위해 얼마나 노심초사하며 조씨가문의 눈치를 보며 살았던 내용을 보니 심계의 깊음에 절로 머리가 숙여진다.

 

특히 가문의 흥망을 걸고 초반 대천재 양수와의 싸움은 정말 대단한 가문들의 열전이었다고 본다.

 

한편, 유비는 수경선생 사마휘로부터 '복룡 봉추 둘중에 하나만 얻어도 천하를 다툴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 이후 복룡이라는 제갈량을 얻은 이후 봉추인 방통까지 얻게 되니, 당시 책을 읽을때는 당장에라도 유비가 천하통일을 할 줄 알았다.

 

하지만 아쉽게도 진정한 제갈량의 라이벌로 유비의 든든한 후원자가 될 줄 알았던 방통은 너무 쉽게 죽는다. 만약 방통이 살아서 제갈량과 같이 각1군씩을 거느렸다면, 사마의가 당해내지 못했을 텐데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https://www.youtube.com/watch?v=MlQf44DmQ5E

728x90
Posted by ttoonz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