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https://youtu.be/Yyj8Pr6cj9c

분량이 늘어나니 편집이 장난이 아니네요.

재미있게 보아주시고 구독 부탁드립니다.

728x90
Posted by ttoonza
,
728x90

youtu.be/EIPVzw1AbFg

인도네시아가 KFX를 배신하려는 이유를 추적해 봅니다.

728x90

'정치 및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적 행위  (1) 2021.02.02
대만에서 평가하는 KFX  (0) 2021.02.01
대북 전단 금지법  (0) 2021.01.26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연기  (0) 2021.01.25
KFX 존재의 이유  (0) 2021.01.23
Posted by ttoonza
,
728x90

 

 

오늘은 KFX 스펙 한방에 정리 시리즈 3RC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CSRadar Cross Section의 앞글자로 비행기를 향해 쏘아 보낸 레이더 신호가 기체에 맞고 반사되어 돌아온 전파값을 말합니다.

 

현대 공중전에서는 이 RCS값이 아주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합니다.

(RCS 스펙은 스텔스 성능값)

 

전파를 쏘고 반사된 전파를 측정한 값이라 실제 단위는 dBm과 같은 값이 쓰이는데, 누가 보아도 직관적으로 이해 될 수 있게 제곱미터(sqm) 단위로 환산하여 사용합니다.

 

참고 화면처럼 일상적 전파의 간섭이 없는 전자파 차폐룸에서 대상물에 전파를 쏘고 반사값을 측정하는 실험으로 RCS를 얻습니다.

 

요즘은 설계도를 컴퓨터 시뮬레이터에 직접 입력하여 RCS 결과를 얻어내 설계 수정 등에 반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 C29 수송기, MIG28, Harrier기 등의 RCS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고 계십니다.

 

이것은 F15 시뮬레이션인데 빨간색은 일반 기체인 경우를, 파란색은 스텔스 도료를 적용할 기체일 경우에 대한 RCS 예상값입니다.

 

보시다시피 레이다 발사각도에 따라 RCS값이 달라지는데 본 영상에서는 최저값을 기준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절대적인 정확도가 맞고 틀리고를 떠나 대략 이렇구나!’ 하는 수준으로 보아 주시면 되겠습니다.

 

A4 용지에 출력을 기준으로 대략 100분의 1 축척으로 보시면 됩니다.

 

그럼 각 기종별 RCS 수준과 KFXRCS를 비교해서 보실까요?

 

먼저 SU30입니다. RCS 1.5라고 합니다. A4에 인쇄하면 유아용 분유통 뚜껑 정도의 크기입니다.

 

실제로는 2m 이상 농구선수 정도를 측정할 경우의 RCS 측정치라고도 합니다.

 

다음은 FA50입니다. 1.0 정도로 잘 설계되었다고 하는데 그래도 꽤 크네요.

 

그 다음으로는 FA50 보다 더 잘 설계된 전투기들이 나옵니다. F16, Typhoon, Gripen 그리고 Rafale등 입니다.

 

모두 비스텔스기들 입니다. 이 정도가 한계치 수준으로 보입니다.

 

그러면 스텔스기들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J20입니다. 0.01 확연한 차이가 나죠. 중국 애들하고 붙으려면 KFX도 뭔가 해야만 할 듯 싶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F35가 있죠. RCS 0.005라고 합니다. J20보다 좋기는 하지만 설계할 때 실수로 RCS가 커졌다고 하는 뒷담화도 있습니다.

 

자 마지막으로 f-22입니다. 보이시나요? 저 조금만 점이 RCS 0.0001을 상대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왜 다들 F22절대 강자라고 하는지 여기서 확실히 보여줍니다.

 

자신은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으면서 상대방의 위치는 정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죠.

 

가까이 갈 필요 없이 그냥 미사일로 한방 꽝! 게임 끝이죠. 부럽습니다.

 

자 이제 KFX차례입니다. 어디쯤일까요?

 

안타깝게도 4.5세대 비스텔스기로 설계가 되어 아직은 Rafale과 비슷한 수준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물론 실물이 나와서 측정을 더 해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도 블럭3까지 기필코 성공시켜 F35는 물론이고, 나아가 F22급 스텔스 수준으로 올려놓을 것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728x90
Posted by ttoonza
,
728x90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인도네시아가 KFX 프로젝트에서 이탈하려는 결정을 조만간 내려는 모양이다. 인도네시아는 중국의 동중국해에 대한 야심 때문에 자국의 안전을 위해 당장 구매 가능한 전투기로 전력 증강 방향을 바꾸는 것 뿐이다.

 

뚠자도 처음에는 인도네시아를 배신 국가라고 생각했으나 점차 증가하는 중국의 위협에 당장 대응하기 위해서는 2026년까지 KFX를 기다리기엔 무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배신감에 흥분하기 보다는 인도네시아라는 좋은 고객을 놓쳤음을 아쉬워 할뿐 배신국이라고 매도할 생각은 없다. 욕먹을 상대를 굳이 지목하자면 확장 일로의 중국 일 것이다.

 

한편 이번 인도네시아가 구매하려는 프랑스 다소의 라팔(Rafale)은 상당히 좋은 전투기인 것 같다. 전투기에 대해 무식한 뚠자가 유튜브에 달린 댓글 보고 KFX가 월등이 우수하다는 말에 확인차 몇 군데 돌아다니며 자료를 찾아 보았다.

 

국뽕 유튜브만 보면 마치 KFX는 만들자마자 완벽에 가까운, 실전을 치뤄도 될 것처럼 나오지만 사실은 너무 오버 하지 말라고 하고 있다.

 

라팔의 경우 현재 대당 13천만 달러 정도 가격에 시간당 유지비는 28,000달러로 현재 대한민국에서 현역으로 사용 중인 F-15K의 모체인 F-15E135백만 달러 및 32,500 달러 대비 다소 경제성이 있다.

 

여기에 AESA레이더 장착은 물론 무장체계도 근소하게 앞서며 추중비나 RCSF-15E보다는 조금씩 앞선다. 한 마디로 나쁘지 않은 아니 우수한 4.5세대 전투기인 셈이다.

 

하지만 아무리 좋다고 해도 라팔을 굳이 F-35와 비교를 한다면, 근접전 정도를 한다면 해볼만 하지만 불행히도 스텔스 기능이 없어서 근접전 시도는 하지도 못한 채 격추 될 것이다.

 

4.5세대와 5세대는 그렇게 무서운 차이를 갖고 있다 하겠다. 스텔스 기술은 기체 형상, 기체도료, 내부 무장창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다행히 KFX는 이런 부분까지 고려하여 설계되었고 블록2, 블록 3에서 구현한다고 하니 좋은 계획이다.

 

엔진이 검증된 엔진이기 때문에 소위 말하는 하늘로 띄우는 것까지는 분명 가능할 것이다.

 

정작 문제는 그 다음부터 일 것이다. 물론 FA50으로 KAI가 충분히 경험을 쌓았기를 기대한다.

 

이처럼 우리의 KFX는 많은 기대나 희망 사항이 녹아들어 있는 상태이기에 이제 시제기 조립 단계인 상태에서, 여기저기에서 회자되는 것이니 라팔이나 J20 등과의 비교는 섣부르다 하겠다.

 

중국과 일본이 좌우에서 쉬지 않고 군비를 증가하는 마당에 대한민국만 그 가운데에서 가만히 있어서는 안 된다. KFX가 지금의 라팔이나 F15K 수준만 나와 주면 대박이다. 뚠자는 그렇게 생각한다.

 

그 정도 수준으로 2026년을 맞이하면 2030년대 초중반에 스텔스 KFX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어느 정도는 중국 일본과 비벼볼 만한 수준은 되는 것이다.

 

그 다음 6세대는 레이저 무기 체계나 AI 등의 가세가 될 것이니 지금처럼 기반 기술을 쌓아가면 엇비슷하게 갈 것이다. 물론 뚠자 없는 세상이니 그 고민은 뚠뚠이들 세대에게 넘긴다.

 

그 사이에 미사일만 좀 더 좋게, 많이 찍어내면 중국 일본도 쉽게 대한민국을 굴복시키거나 먹어보려고 하지 못할 것이다.

 

그렇기에 일본이 헌법을 고치는 등 우경화가 더욱 기승을 부리기 이전에 우리의 전력이 안정궤도에 올라가야 한다. 좋은 환경은 아닐지라도 더 이상 당하기만 하는 상황을 후손에게 물려주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728x90
Posted by ttoonza
,
728x90

 

지난 1029일 영문판 디지털 뉴스 사이트인 EurAsian Times'대한민국이 세계 전투기 시장에서 라팔, 타이푼, F-16을 격추시키는 것을 주목하라'라는 기사를 통해 KFX5세대 6세대가 아닌 4.5 세대 전투기인 이유를 분석했습니다.

 

기사에서는 한국의 KFX 프로젝트가 4.5세대 전투기 임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이 도박을 거는 이유는 바로 '타이밍과 수출전략' 때문이라고 판단 내렸습니다.

 

이미 알려진 대로 미국, 영국, 독일, 중국 등은 6세대 전투기를 만들어 내려고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미국의 비밀스런 NGAD나 영국의 템페스트와 같은 다른 6세대 전투기들은 2030년대 초에도 볼까말까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그때쯤 KFX는 이미 완성되어 모든 전투 즉 실제 전투 혹은 전투기 시장에서의 판매전등에서 준비가 되어 있을 것이란 이야기입니다.

 

어차피 F-35는 제한된 국가에서나 접근 가능 할 것이며 중국의 J-20은 아직 정보가 충분치 않으므로 KFX가 충분한 흥행 카드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비록 4.5세대 전투기이지만 기본설계상 레이더 반사를 최소로 줄였으며 향후 블록2 블록3를 통해 스텔스 전투기로 가는 전략은 적절한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마하 1.8의 속도와 1,800마일의 비행 능력은 F-16을 상회하는 것이며, 무장 능력 또한 유럽이나 미국제 무기 모두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가격을 대당 5천만 ~ 6천만 달러로 보고 있으므로 이 정도 가격과 성능에 스텔스 기능까지 더한다면 많은 구매자들에게 관심받을 것이라고 전하며 기사를 마무리했습니다.

 

요즘 인도네시아가 개발 파트너로서 말이 많이 나오는 상황이긴 하지만, KFX 프로젝트 진행에 장애가 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기술유출 우려가 없어지는 셈이니 홀가분하게 더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영공 방어 임무만 완수해 주어도 충분한데, 수출 가능성까지 높게 평가하는 외신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힘들겠지만 차분하게 완벽한 개발 성공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해 봅니다.

 

youtu.be/0YUTlyyakAU

 

728x90
Posted by ttoonza
,
728x90

1110한국일보는 한국 인도네시아 KFX 사업 프랑스먹구름이라는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기사에는 인도네시아가 시간에 쫓겨 결국 프랑스의 전투기 라팔을 구매하기로 결정할 것 같다는 기사입니다.

 

이 기사에서 인도네시아는 중국과 남중국해 문제로 언제든 출격해야 하는 상황이며, 그에 비해 절대적으로 전투기 숫자가 부족한 상태라는 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인도네시아는 시급히 전투기를 늘려야만 하는 상황이라고 기사는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인도네시아로서는 이제 시제기 조립 단계인 KFX를 기다리기에는 시간적 여유가 없는듯하다는 암시를 주었습니다. 때마침 유지비가 많이 드는 유로파이터 구매를 알아보는 인도네시아 프라보워 국방장관에게 프랑스가 아주 매력적인 제안을 했다고 전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매력적 제안이란 프랑스가 라팔 전투기의 기술을 이전해 준다는 것입니다. 현재 프랑스는 5세대 전투기를 개발 중이므로 4.5세대 전투기인 라팔의 기술을 인도네시아로 이전에 준다는 것입니다.

 

기사 내용이 현실화될 경우 인도네시아는 KFX사업에서 기존 납입금과 부대 비용 등 약 3000억 원 정도를 손해 볼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일단 공식발표는 아직 안 났지만 카더라 통신이 계속 나오는 것으로 봐서 인도네시아가 현실적으로 결별을 위해 명분을 쌓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도네시아 입장에서 라팔의 구매는 현 시점에서 나쁘지는 않은 선택입니다. 중국과의 분쟁에서 시간이 걸리는 KFX보다, 당장 전력화 가능한 라팔이 시간적으로는 확실히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거기다 혹시 프랑스로부터 4.5세대 전투기 기술을 이전 받으면 금상첨화 아니겠는지요?

 

하지만 뚠자는 아무리 보아도 이 내용은 카더라 통신의 오버라고 여겨집니다. 아마도 조립 기술 이전을 대단한 기술 이전인 것처럼 확대 해석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아무리 프랑스가 전투기 판매에 열을 올리고는 있지만, 요즘 한창 무슬림 때문에 프랑스 내부가 시끌벅적한 상황입니다. 멀쩡했던 프랑스 교사가 죽어나간 그 상황 말입니다. 그런데 무슬림국가인 인도네시아에 프랑스가 자국의 자존심이 녹아든 전투기 기술을 넘긴다고요?

 

우리나가가 국정원의 미숙함 때문에 인도네시아와 엮이기는 했지만 오래 가지는 않을 듯 싶습니다. 인도네시아가 중국과의 남중국해 때문에 시급하다 하니 대한민국에서 아름답게 이별 해주어야 할 듯합니다.

 

문제의 인도네시아 국방장관이 농림장관으로 가든지 말든지 신경쓰지 말아야합니다.

 

우리나라는 어느 아름다운 나라에서 아름다운 이별을 어려워하는 어느 대통령과 같은 모습은 보이지 말아야겠습니다.

 

그나저나 KFX 사업이 성공해야만 하는 이유가 하나 더 늘어났군요.

 

인도네시아도 실패를 예상하고 발뺀 거 아니냐는 소리가 나올 것이 뻔하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성공해서 대한민국 아니 세계를 지키는 명품 전투기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youtu.be/ONS-l3NCMeo

728x90
Posted by ttoonz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