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대 그들'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1.06.14 똑똑함의 숭배 - 크리스토퍼 헤이즈
  2. 2020.11.06 미국 대선을 보며
728x90

오랜만에 만나보는 지성인의 책이다. 이 세상 혹은 이 사회가 언제, 어디서나 그리고 어떠한 이념을 추구하는 곳이라 하더라도 숙명적으로 피하지 못하고 있는 부의 불균형 및 불공정에 대해 소신을 갖고 아주명쾌하게 결론을 내고 있다.

 

100% 정답이다 아니다 논쟁이 있을 수 있겠지만 이 책만큼 명확하게 흐릿했던 시야를 맑게 해주는 책은 오랜만이었다.

 

이안 브래머가 지은 <우리 대 그들> 보다도 더 명확하고 더 보편적인 '사회 현상 해석 틀'을 제시하고 있다.

 

바로 똑똑한 사람들에 의한 능력 주의를 제대로 들여다 보자는 것이다.

 

사실은 능력 지상 만능 주의라고 고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거의 대부분의 시대와 지역을 막론하고 능력주의는 보편화되어 있다. 어느 정도는 당연하다. 뚠자도 인정한다.

 

똑똑하고 능력이 있는 사람이 적합한 자리에 있거나, 리터가 되어 무리나 국가를 이끌어야 함이 훨씬 효율적인 것은 맞다.

 

바보에게 의사 면허를 준다거나 아니면 다소 판단 능력이 부족한 자를 미국 대통령 자리에 앉히면 어찌될까?

 

리더가 무능하면 그 소속 집단은 단번에 엉망진창에 빠질 것이다.

 

그러니, 총명하고 능력있는 엘리트들이 사회 지도층이 되어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풀고 인류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으로 볼수 있다.

 

그런데, 한가지가 간과되고 있다. 바로 도덕성이다.

 

처음에는 아닐지라도 도덕성'이 결여된 엘리트의 등장으로 한없이 발전 할 것만 같던 시스템은 한 순간에 붕괴될 만큼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일례로 에너지 기업 '엔론'사 사태와 2008년 금융위기를 들고 있다.

 

수익만을 추구하는 이 시대의 엘리트들은 대형사고를 치고 말았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그런 반칙은 교육 과정에서부터 나온다고 알려준다.

 

미국 뉴욕의 어느 헌터 중·고등 학교는 최고의 공립 학교로서 누구나 공정한 시험으로 입학기회가 주어진다.

 

언듯 들으면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그 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거금을 들여 고액 과외를 받은 아이들이 주로 입학한다면 과연 시험이 공정한 것인가 아니면 부자의 전유물인가 의구심이 든다.

 

상당한 수준의 학습을 이미 깨우친 아이들의 명문학교 입학률이 가난한 아이들의 입학률보다 월등히 높은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 일부 대학이 돈 받고 중국 유학생에 학위 장사 하듯이, 하버드를 비롯한 미국의 명문 대학도 우리나라 학생들을 돈 받고 입학시켜 준다고하니 먼 나라 사람들만의 이야기는 아닌듯하다.

 

아무튼 다시 저자 이야기에 주의해 보면 능력있는 자들로 구성된 각 나라의 지도자나 행정부들 조차도 기후변화 문제 하나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함에 대해 매우 실망해 한다.

 

어디 기후변화 문제 뿐일까!

 

도덕심이 결여된 똑똑함과 출중한 능력은 사회에 큰 위험 요소가 될수 있다.

 

교육의 문제이며, 불평등의 문제이다.

 

불평등을 줄여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은 시대에 뒤떨어진 공산주의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너무 많이 기울어진 운동장은 진정한 능력주의가 아닌 '금전' 주의 일 뿐임을 말해준다.

 

부의 대물림은 교육 수준의 대물림이고 결국 계급의 대물립으로 보고 있다.

 

그 해결책은 과세 제도의 수정으로 부의 불교형 수준을 줄이지는 것이다.

 

상위 1%가 전체의 60~70% 자산을 싹쓸이하는 시대는 위험하기 때문이다. 동의한다.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곧 있을 우리나라 이야기이며 코로나 사태로 그 시간이 더 당겨진것 같다.

 

이 책을 이 시대의 불균형과 그 불균형에 대해 의문을 갖는 모두에게 읽혀졌으면 하는 생각에 과감히 추천한다. 평점 9.0

 

728x90
Posted by ttoonza
,
728x90

4년 전의 미국 대선은 예상 밖의 결과로 조금 당황했던 기억이 남아 있습니다. 당연히 힐러리가 금녀의 벽을 허물고 사상 최초로 미국 여성 대통령이 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매체나 여론조사도 같은 예상을 했었지만, 결과는 비주류였던 트럼프의 승리였습니다.

 

그로부터 4년이 지나는 동안 뚠자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을 보면서 참으로 많은 것을 느꼈습니다. 그동안은 세계 제일의 강대국으로서 차마 하지 못했던 행동들을 꺼리낌없이 행사하는 것이었습니다.

 

미국의 이익이 되는 쪽이면 대의명분 따위는 언제든 벗어던지는 트럼프 정부는 정말로 충격적인 모습이었습니다. 물론 힐러리나 바이든도 박애주의가 넘친다거나 미국보다는 더 대국적으로 세계 평화와 안전을 위해 판단과 행동을 할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국제 관계에 있어서 그런 생각이야말로 순진한 생각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트럼프처럼 대놓고 세계질서를 그것도 자신들이 주도해서 만들어 놓은 세계질서를 뒤흔들어가면서 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좀 더 잘 넘어갈 수 있도록 그럴듯한 명분으로 포장하고 그 흑심은 살짝 감추었을 것입니다.

 

물론 본심은 미국 중심주의이며 미국의 이익입니다. 다른 나라 입장에서는 어느 누가 되어도 같은 상황이기는 할 것입니다만 목적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과정임은 국제관계에서도 예외는 아닙니다.

 

이안 브래머가 지은 책 '우리 vs 그들'에는 미국의 분열된 상황을 적나라하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보다 더 먼저 더 광범위하게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시작했기에 미국 내부의 부의 불균형은 우리나라 보다 더 크다고 하겠습니다.

 

오늘 날의 미국을 만들어낸 앵글로색슨계 백인도 이 과정에서 비껴가지는 못 해 극소수의 부자와 일부 중산층 그리고 다수의 빈곤층이 백인 사회에도 비율만 다를뿐 그대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흑인 및 아시아계 보다 어느 정도는 나을뿐 백인들도 대다수는 불만이 쌓이고 있습니다. 그 점을 이용해 트럼프가 당선이 된 것이라는데 재선을 위해서 역시나 또 이용을 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흑백인의 대결까지 첨가하여 4년 전보다 더 확장된 전선으로 말입니다.

 

풀 몰란드가 지은 책 인구의 힘을 보면 미국 내 백인 대비 유색인종의 인구수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점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중장기적으로는 유색인종 대통령이 더 자주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보면 그 답이 나오거든요.

 

개인적으로는 바이든보다는 트럼프가 4년 더 미국 행정부를 운영하기를 기대했습니다. 남북 관계 때문만은 아닙니다. 자주국방을 이루기 위해 트럼프가 협상에 있어서는 속 편한 상대이기 때문입니다.

과거 미국은 너무 갑작스런 독일의 통일로 단물을 빨며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독일을 놓쳐버린 이후, 대한민국은 절대 통일이 되도록 바라지도 내버려 두지도 않을 것입니다.

 

자신들이 허수아비로 남겨두려 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런 국제 동향은 중국, 일본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중국은 중국대로 일본은 일본대로의 이익을 위해 갑작스런 동아시아의 강대국이 하나 더 탄생하는게 반갑지 않기 때문입니다.

 

계속 자신들의 눈치를 살피는 국가로 대한민국이 남길 바라며 실제 외교적 행동도 서슴치 않고 있지 않습니까? 일본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WTO 사무총장건이나 독일 소녀상을 보면 서 말입니다.

 

이럴수록 국방에 대한 족쇄를 풀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 트럼프를 상대로 미사일이나 핵 개발의 군사적 제한을 풀어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젠틀한 척하는 오바마나 바이든을 상대로는 얻어내기 어렵기 때문에 트럼프의 즉흥성을 기대하는 것입니다.

 

마침 트럼프는 4년 더 해 보려고 대선불복 시나리오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상황은 그가 대통령이 될 것 같지는 않네요. 트럼프의 탐욕과 명예욕에 불을 질러 대한민국이 강 대국으로 가는 밑거름으로 삼고자 했는데 조금 아쉽습니다.

 

www.youtube.com/watch?v=lckq6eDtbjc

728x90

'정치 및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FX 라팔 타이푼 F16을 전투기 시장에서 격추시키다  (0) 2020.11.15
KFX가 ‘라팔’에 밀렸다고?  (0) 2020.11.14
KFX 해킹을 막아라  (0) 2020.10.26
KFX 아이언버드  (2) 2020.10.22
경항모용 KFX Navy  (0) 2020.10.20
Posted by ttoonza
,